지난해 말부터 발견되기 시작한 영국, 남아공, 브라질발 변이바이러스는 불과 몇달 사이에 사실상 전세계로 퍼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 변이바이러스는 전파력도 강하고 감염자의 증상도 더 심해 각국 방역당국의 최대 고민으로 떠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미 식품의약국, FDA가 승인한 3종류 백신도 이 변이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떨어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FDA의 승인을 받은, 화이자-바이오엔텍, 모더나, 존슨앤존슨 백신은 이른바 스파이크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이들 3개 변이 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단백질 유전자에 복합적인 돌연변이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변이 이전의 원래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작용하는 항체를 피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이들 변이 바이러스를 중화하려면 기존 백신을 접종했을 때보다 훨씬 더 많은 항체가 형성돼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. <br /> <br />변이 바이러스를 중화하기 위한 항체 형성 경로는 백신 접종이든 감염이든, 항체 치료제 투여든 별반 차이가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영국발 변이는 원래의 코로나19에 필요한 정도의 항체로도 중화가 가능했지만 남아공발과 브라질발 변이를 중화하려면 적게는 3.5배, 많게는 10배의 항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같은 연구는 미국 워싱턴대 의대 마이클 다이아몬드 교수 연구팀이 수행했고 관련 논문은 '네이처 메디신'에 실렸습니다. <br /> <br />다이아몬드 교수는 "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에 효과적인 항체를 계속 찾아야 하고, 이에 맞춰 백신과 항체 치료제 개발 전략도 조정할 필요가 있다"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: 강성옥 <br />영상편집 : 연진영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1030714424444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